포괄적인 IT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를,
이용자가 직접 구매하여 운영하지 않고,
대규모의 IT인프라를 구축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일종의 구독 형식으로,
인터넷 망을 이용한 임대 형식으로 월 과금의 비용을 내고
비즈니스 등에 필요한 인프라로 이용하는 것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이라고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에게 구독형으로 임대 가능한 IT 인프라 및 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고객은 제공 받은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자신들의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등을 탑재하여 자신들이 직접 이용 또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 합니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영역을 호스트영역이라 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클라우드 위에 설치 및 탑재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구성하는 인프라 영역을 게스트 영역이라 합니다.
IT 인프라에서는 보안이 매우 중요 합니다.
위의 호스트 영역과 게스트 영역은 각각 관리의 주체가 구분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가장 중요한 보안에 대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관리 정책을 명확히 수립하여 보안의 위협으로 부터 좀더 안전한 인프라를 운영하기 위해 각각 관리 영역에 대한 책임 분담 정책을 정용하는 것이 "클라우드에서의 책임분담 모델 입니다.
책임분담 모델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고객의 책임, 공동의 책임" 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 클라우드 및 IT 분야의 전문적인 용어 및 기술, 트랜드 등에 대해 누구나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일반인의 용어로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하는 포스팅을 이어가고자 합니다. IT 관련해서 어떤 것이든 댓글로 질문 주시면 열심히 공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일반인을 위한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팅의 의미, 용도 그리고 라우터 벤더 (0) | 2023.06.01 |
---|---|
일반인을 위한 IT 상식 -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요 (7) | 2022.07.27 |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 - 클라우드 도입의 6가지 이점 (3) | 2022.07.17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1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