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나 전문가들보다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도록 가급적 쉬운 표현으로 IT 관련 용어들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란, 사용자가 IT 인프라를 직접 구매하여 전산실을 구축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자가 대규모로 구축하여 제공하는 인프라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사용료를 내고 구독형으로 다양한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주요 공급사는 아마존의 AWS, Microsoft사의 Azure, 구글의 GCP, IBM Cloud, Alibaba Cloud 등의 외산이 있고 국내 업체로는 Naver, KT, NHN, 카카오 등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주요 이용자는 전산실을 운영하는 회사들, IDC 센터를 통해 IT 인프라를 운용하는 회사들, 새로 창업한 스타트업 등 비즈니스 또는 업무를 위해 전산 인프라가 필요한 거의 모든 회사 및 기관들이 해당됩니다. 특히 요즘에는 새로 창업하는 스타트업들의 대부분은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클라우드의 도입의 이점을 가장 잘 누릴 수 있는 곳 : 온라인 게임사
온라인 게임사는 게임을 발표할 때 IT 인프라의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게임이 좋은 반응을 얻으면 일시적으로 굉장히 큰 규모의 IT인프라가 필요할 수 있고, 반응이 나쁘면 얼마 가지 않아 게임 서비스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측하여 구축한 인프라를 초과하는 트래픽이 발생하면 접속 장애 등이 발생하여 수많은 고객 유입의 기회를 잃을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인프라 투자 비용이 막대한 손실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인프라를 도입하여 구축하지 않고, 구독형으로 이용한 만큼의 비용을 매월 전기세 내듯 낼 수 있으므로 목돈의 인프라 투자 비용 부담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또 트래픽의 증감에 따라 신속하게 인프라를 확대 및 축소할 수 있으므로 비즈니스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종료되어 더이상 인프라의 사용이 필요 없게 되면 구성한 클라우드 인프라 및 서비스를 종료하면 됩니다.
IT인프라 운용 방식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화하여 현재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에 이르렀습니다.
직접 전산실 운영 --> IDC 이용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1. 전산실 : IT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여 사용하는 방식. 전산실 공간을 확보하고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Operation Software, License Software 등을 직접 구매하여 구축하고 전산실 운영 엔지니어들을 채용하여 직접 관리하고 운영합니다. 공간 임대 비용, 서버 및 스토리지 직접 구매, 전산실 구축, 전산실 관리 인력 비용, 전기료, 항온항습 등 전산실 환경 유지비용 등 다양한 간접 비용 부담이 있습니다.
2. IDC : 서비스 제공사가 충분한 전산실 공간을 마련하고 대량의 서버 및 스토리지,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 놓고 공간 및 IT 인프라를 임대, 분양하는 형태의 IT인프라 제공 서비스. 공간과 인프라를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와 인프라 장비는 고객이 직접 구매하여 분양한 공간에 구축하고 공간만 임대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고객은 전산실을 직접 운영하지 않으므로 전산실을 위한 공간 임대비용, 전기료, 전산실 환경 유지 비용, IT인프라 관리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3.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 고객은 직접 도입 및 구축 운영을 하지 않고 모든 인프라를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합니다. 초기에는 주로 서버와 스토리지를 임대해 주는 서비스로 시작했던 것이 최근에는 거의 모든 IT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서버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분석, 네트워킹, 모바일, 개발자 도구, 관리 도구, IoT, 인공 지능 솔루션, 보안 및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은 필요로 하는 인프라를 초기 자본 지출 없이 신속하게 구성하여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일반인을 위한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팅의 의미, 용도 그리고 라우터 벤더 (0) | 2023.06.01 |
---|---|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 - 클라우드 도입의 6가지 이점 (3) | 2022.07.17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10) | 2022.07.11 |
클라우드에서 "책임분담 모델"이란? (6) | 2021.12.06 |